언어


■ 문제 1 ,2...로시작하는 피보나치수열에서 400만 이하인 수중 짝수인 수를 모두 합하면 얼마일까? 피보나치수열의 각 항은 바로 앞의 항 두 개를 더한 것이 됩니다. 1과 2로 시작하는 경우 이 수열은 아래와 같습니다. 1, 2, 3, 5, 8, 13, 21, 34, 55, 89, 144... ArrayList list.add( ) 배열에 값을 추가함. 이때 별다른 조건 없을시, 순서대로 추가됨 list.get( ) 배열에 있는 값을 불러옵니다. 'get' 말그대로 가져온다는 뜻. list.size( ) 배열의 크기를 나타냅니다. 여기서는 for문을 이용할때 사용하였습니다. 직접 생각해 보는 게 중요합니다. 정확하게 답을 못 내더라도 어떻게 해야 할까 가볍게라도 생각하고 답안 참고해 주세요!! ■ ..


■ 문제 입력받은수를 2진법으로 나타내자 2진법이란, 자연수를 0과 1로만 나타내는 것입니다. 예를 들어 10 = 2⁴ + 2² 이므로, 1010 으로 나타낼수있습니다. toBinaryString( ) 10진수를 입력 받아 2진수 String으로 바꾸어주는 메소드 직접 생각해 보는 게 중요합니다. 정확하게 답을 못 내더라도 어떻게 해야 할까 가볍게라도 생각하고 답안 참고해 주세요!! ■ 예시 답안 Scanner import 하고 int 값을 입력받습니다. toBinaryString( ) 을 이용하여 입력받은 10진수의 수를 2진수로 바꾸어줍니다. 이때, 바꾼 2진수는 String 타입 입니다. ■ 실행 결과


■ 문제 입력받은 숫자의 자릿수를 알려주는 코드 작성 예시) 입력 55 > 출력 : 10의 자릿수 입력 9999 > 출력 : 1000의 자릿수 직접 생각해 보는 게 중요합니다. 정확하게 답을 못 내더라도 어떻게 해야 할까 가볍게라도 생각하고 답안 참고해 주세요!! ■ 예시 답안 값을 입력받을 수 있게 Scanner 사용 int 타입 num으로 값을 입력받아 저장합니다. 예를 들어 숫자 5를 입력받았다고 합시다. 10을 빼주면 음수가 됩니다. 5 - 10 = -5 이때 (a/10) 10으로 나누어준 수가 입력한수의 자릿수가 됩니다! 다시 말해 10부터 시작해서 10 , 100, 1000... 을 각각 빼주었을 때 음수가 되는 것으로 해당되는 자릿수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. ■ 예상 오류 위 내용대로 했을 때..


■ 간체자 중국 , 싱가포르 , 말레이시아 번체자 대만 (+ 홍콩, 마카오) ㄴ 한국 일본 등에서 쓰는 한자 생각하면 편함 ■ 전체 인구 중 중국인 비율 싱가포르 중국인(74%) 말레이시아 중국인(22%) '싱가포르랑 말레이시아에서 간체를 쓴다! ' 라고 하기보다는 거주하는 중국인들이 간체자를 쓴다 생각하면 좋다 ■ 대만은 중국이 간체자 만들어놨는데 '어 나도 좋아~ 간체자 써' 이러면 이상한 상황 한자의 복잡하고 어려움이 중국의 발달을 막는다라는 주장과 함께 간체자가 연구되었는데 한 번에 딱! 하고 만들어진 건 아니고 여러 시행착오를 거쳐 제정되었다 물론, 아주 오래전부터 한자를 간단하게 쓰는 경우는 있었으나 이렇게 공식적으로 바꾸려는 움직임은 없었다 본격적으로 움직임을 보인 건, 1950년대 ■ 간체..

■ What would you like to ~? 무엇을 하고 싶어요?? 주로 손님, 고객에게 상대의 의향이나 원하는 것을 물어볼 때 사용. 집에 온 이웃에게도 "What would you like to eat? " 뭐 드실래요? What would you like to drink? 무엇을 마시고 싶어요? What would you like to see at the movie theater? 영화관에서 무엇을 보고 싶어요? ■ Would you like ~ 하시겠어요? 드시겠어요? 드릴까요? 음식을 권하거나 호의를 베풀 때. 직접 적인 제안. 식당. Would you like something to drink? 마실 것 좀 드릴까요? Would you like a game of chess? 체스 한게임 ..

I'm in~ ~ 한 상태에요 라는 뜻으로 말하는 이의 상태나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입니다. In 다음에 (내 기분이 어떠지 어떤 상황인지 단어나 어구) 를 붙이면 됩니다. ■ I'm in shock. 충격을 받았어요. (충격을 받은 상태에요) I'm in trouble. 곤란해요. (곤란에 빠진 상태에요) I'm in good shape. 건강한 상태에요. I'm in a dilemma. 곤경에 빠졌어요. I'm in need of help 도움이 필요해요. ■ be in ~ ㄴ 주어를 I 대신 she 나 he 등으로 바꿀 수 있다.